재테크꿀팁

2025년 1월 부가가치세 신고 기간 및 방법

by 아꼼맘 2025. 1. 19.
반응형

부가가치세 신고는 사업자라면 반드시 이행해야 하는 중요한 의무입니다. 1월은 부가세 확정신고 기간으로, 이와 관련하여 자세한 내용 살펴보겠습니다.

 

 

2025년 1월 부가가치세 신고 기간 및 방법

 

 

[목차여기]

 

 

 

 

 

 

2025년 부가가치세 신고 기간 및 대상

 

일반과세자는 연 매출 8,000만 원 이상인 사업자로, 전체 매출액의 10%를 부가가치세로 납부하며 매입세액 공제가 가능합니다. 

 

일반과세자는 매년 1월과 7월 두 차례 신고해야 하며, 이번 1월 신고는 작년 하반기(7월~12월) 매출과 매입을 기준으로 1월 25일까지 진행해야 합니다.

 

2025년 1월 부가가치세 신고 기간 및 방법

 

간이과세자는 연 매출 1억 4천만 원 미만의 사업자로, 매년 1월 25일까지 1년 치 매출에 대해 신고해야 합니다. 단, 2025년 1월 25일이 휴일이고 설 연휴와 겹치기 때문에 신고 및 납부 기한이 1월 31일까지로 연장되었습니다.

 

2025년 1월 부가가치세 신고 기간 및 방법

 

 

 

 

 

 

부가가치세 신고 방법

 

부가가치세 신고는 온라인 신고, 세무서 방문 신고, 세무사 대행 신고로 나눌 수 있습니다.

 

2025년 1월 부가가치세 신고 기간 및 방법

 

온라인 신고는 국세청 홈택스(www.hometax.go.kr)에 접속해 공인인증서 또는 간편인증으로 로그인한 후, 부가가치세 신고 메뉴에서 매출·매입 내역을 입력하고 세액을 계산해 신고하는 방식입니다.

 

2025년부터는 홈택스에도 인공지능이 도입되면서 손쉽게 부가세 신고를 처리할 수 있다고 합니다.

 

2025년 1월 부가가치세 신고 기간 및 방법

 

세무서 방문 신고는 가까운 관할 세무서를 방문해 서면으로 직접 신고하는 방법이며, 세무사 대행 신고는 세무사를 통해 신고를 대행함으로써 절세 전략 수립과 가산세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부가가치세 신고 시 유의사항

 

부가가치세 신고 및 납부 기한을 반드시 준수해야 하며, 기한을 넘길 경우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또한 매출과 매입 내역을 정확하게 입력하고 증빙자료를 철저히 보관해야 하며, 필요시 세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정확한 신고를 진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가가치세 신고를 하지 않거나 납부가 지연될 경우 여러 가지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무신고 가산세는 납부세액의 20%가 부과되며, 과소신고 시 누락 금액의 10%가 가산세로 부과됩니다.

 

또한 납부 지연 시 미납 금액에 대해 매일 0.025%의 가산세가 추가됩니다. 정확한 신고와 납부로 불이익을 예방하고, 사업 운영에 불편함이 없도록 미리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세무기장료 대행 사이트 추천 BEST3

요즘엔 일반 기업도 있지만 개인 사업자를 내서 부업을 하시는 분들도 많으실 겁니다. 하지만 세무는 잘 모르는 분야라 직접 하기가 어려워서 세무기장 대행 업체를 알아보곤 하시는데요, 잘 모

jjtmi.com

 

부가세 환급일 및 조기 환급 신청 조회 방법

7월은 부가세 확정신고 기간이었습니다. 이 시기에 부가세를 신고하셨던 분들은 약 한 달 뒤인 8월에 부가세가 환급될텐데요. 오늘은 부가세 환급일 및 조기 환급 신청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

jjtmi.com

 

개인사업자 종합소득 신고 시 중간예납 해야할까?

연말이 다가오면서 직장인 분들은 연말정산에 관심이 많으실 겁니다. 개인사업자의 경우는 5월과 11월이 바쁜데요, 연말정산 대신 종합소득을 신고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종합소득이 있

jjtmi.com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