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꿀팁

최대 100만원 숨은 내 돈 찾는 방법 파인 페이인포 사이트 바로가기

by 아꼼맘 2024. 12. 12.
반응형

가끔 통장 정리를 하다보면 내가 모르는 은행 계좌를 발견하기도 합니다. 이렇게 내가 몰랐던 통장, 보험금, 오래된 카드 포인트까지 숨은 금융자산을 쉽게 찾는 방법이 있는데요. 오늘은 그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최대 100만원 숨은 내 돈 찾는 방법 파인 페이인포

 

[목차여기]

 

 

 

 

숨은 금융자산이란?

 

숨은 금융자산은 일정 기간 거래가 없어 소멸시효가 지난 휴면 계좌나 3년 이상 거래가 발생하지 않은 금융자산을 말합니다.

 

오래 방치된 예적금이나 보험금, 신탁금, 투자자 예탁금, 미사용 카드포인트 등이 숨은 금융자산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쉽게 말해 잊혀진 내 돈입니다.

 

지난해 연말에 숨은 금융자산 찾아주기 캠페인을 진행한 결과 총 192만개 계좌에서 2조 378억원이 발견되었습니다. 이는 계좌 하나당 약 106만원 정도에 해당되는 금액인데요. 

 

이렇게 캠페인을 벌였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찾아가지 않은 숨은 금융자산이 무려 18조원이 넘는다고 합니다.

 

 

 

 

숨은 금융자산이 생기는 이유

 

숨은 금융자산이 생기는 이유는 다양한데요. 우선 어릴 때 만든 계좌나 부모님이 자녀 명의로 계좌를 만들어 놓고 방치한 통장들의 잔액이 숨은 금융자산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주거래은행 외에 단기 예적금을 가입해놓고 만기가 되어도 잊어버려서 찾지 않는 만기 예적금도 적지 않다고 합니다.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 중 하나는 바로 보험인데요. 보험은 상품구조가 복잡해서 만기가 되어도 환급금이 있는 줄 모르고 찾아가지 않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올해 숨은 보험금은 12조원에 달해 휴면보험금 회수 안내가 강화되고 있습니다.

 

 

 

 

숨은 금융자산 찾는 방법

 

이렇게 숨은 금융자산은 보험이나 예적금, 카드 포인트 등 다양한 곳에서 발생하고 있는데요. 숨은 금융자산을 찾는 방법은 의외로 간단합니다. 금융감독원의 '파인-잠자는 내돈찾기'와 금융결제원 '페이인포-내 계좌 한눈에' 사이트를 통해 한번에 찾을 수 있습니다.

 

이 사이트에 접속하면 모든 금융권의 휴면, 장기 미거래 금융자산을 조회할 수 있고 1년 이상 거래가 없는 잔고 100만원 이하의 예적금, 신탁 등은 즉시 돌려받을 수 있도록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최대 100만원 숨은 내 돈 찾는 방법 파인 페이인포

 

먼저 파인에 접속하시면 이렇게 휴면예금, 보험금, 카드포인트 등 잠자고 있는 내 돈을 조회할 수 있는 메뉴가 제시되고 있습니다. 필요한 부분을 클릭하셔서 로그인 후 진행하시면 되겠습니다.

 

 

최대 100만원 숨은 내 돈 찾는 방법 파인 페이인포

 

 

페이인포의 내계좌 한눈에 메뉴에 접속하시면 각종 정보 제공에 동의 후 정보를 입력하면 휴면예적금 및 보험금 등을 조회해 볼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장기간 사용하지 않은 계좌들을 대포통장으로 사용하여 범죄에 연루되는 경우도 꽤 발생한다고 합니다. 틈틈이 잠자고 있는 내 계좌는 없는지 체크해 둘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오늘 알려드린 두 개의 사이트를 통해 지출이 늘어나는 연말, 생각지도 못한 보너스를 얻는 기회가 되시길 바랍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카드 포인트 통합 조회 및 현금화 방법 여신금융협회

신용카드 많이들 사용하시죠? 카드를 사용하면 포인트를 적립하거나 할인을 받기도 하는데요. 이러한 카드 포인트를 통합조회하여 현금화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미리 알아두셨다가 카드 포인

jjtmi.com

 

친환경 보일러 지원금 60만원 신청 방법

날씨가 추워지면서 난방비 걱정이신 분들 많으실겁니다. 친환경 보일러를 사용하면 지원금 60만원을 받을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친환경 보일러 지원금 대상 및 신청 방법에 대

jjtmi.com

 

겨울 난방비 에너지 바우처 70만원 신청 방법

올 여름이 유난히 더워서 올 겨울 역시 추울것이라는 예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렇게 날씨가 추워지면 난방비 걱정을 하지 않을 수가 없는데요. 특히나 저소득층은 높은 난방비 때문에 생활의

jjtmi.com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