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꿀팁

육아휴직 연말정산 부양가족 등록 방법

by 아꼼맘 2025. 1. 7.
반응형

육아휴직 중인 분들 가운데는 연말정산을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이신 분들이 있으실 겁니다. 남편과 별도로 연말정산을 진행하는게 좋을지, 아니면 남편의 부양가족으로 등록해서 연말정산을 진행하는게 좋을지 고민일텐데요. 오늘은 육아휴직 중 연말정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여기]

 

 

 

 

부양가족 등록 여부 확인

 

육아휴직을 하게 되면 급여소득이 이전 급여의 최대 80%를 받거나 기간에 따라서는 아예 없을수도 있는데요. 이렇게 육아휴직 중에 소득이 줄어들어 연말정산을 어찌해야 할지 고민이실 겁니다.

 

그래서 남편의 부양가족으로 등록한 뒤 연말정산을 해야하나 걱정이신 분들이 있는데요. 이때 부양가족을 등록하는 게 유리한지 알아보려면 몇가지 확인해 봐야 합니다.

 

 

1. 본인 소득 여부

 

만약 육아휴직 중 내 급여가 500만원 이하라면 남편의 부양가족으로 등록할 수 있습니다. 이때, 육아휴직 급여는 비과세이기 때문에 소득에 포함되지 않는데요.

 

따라서 육아휴직 급여를 제외한 소득이 500만원 이하라면 남편의 부양가족으로 등록할 수 있습니다. 500만원을 초과한다면 부양가족으로 등록할 수가 없습니다.

 

 

2. 남편의 연말정산 혜택 확인

 

만약 남편의 부양가족으로 등록하면 인적공제, 부양가족 의료비 공제, 기타 공제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인적공제는 연 150만원의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고 의료비 공제는 남편이 부담한 의료비를 추가로 공제 받을 수도 있습니다.

 

또한 기타공제에는 보험료, 교육비 등을 남편 명의로 결제할 경우 더 많은 공제가 가능합니다. 이외에도 인적공제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다면 아래 버튼을 클릭하여 내용을 확인해 보세요.

 

 

 

 

 

 

부양가족 등록이 불리한 경우

 

남편의 부양가족으로 등록하는 것이 불리한 경우도 있습니다. 앞서 살펴보았듯이 육아휴직 급여를 제외한 내 소득이 500만원 초과라면 인적공제 150만원의 혜택을 받을 수 없게 됩니다.

 

또한 중도퇴사로 인한 연말정산 환급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면 부양가족으로 등록하는 것보다 내 개인적으로 연말정산을 진행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부양가족 등록이 유리한 이유

 

육아휴직 중 육아휴직 급여 외에 소득이 없다면 남편의 부양가족으로 등록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왜냐하면 육아휴직 중인 경우에는 근로소득이 없기 때문에 공제 혜택이 거의 없고, 남편의 소득이 높기 때문에 공제 효과가 커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다양한 인적공제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부양가족으로 등록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부양가족으로 등록하는 방법은 매우 간단한데요. 국세청 홈택스에 접속하여 자료제공 동의만 진행하면 됩니다.

 

 

 

 

육아휴직 중에는 육아휴직 급여를 제외한 소득이 연간 500만원 이하인지를 확인하고 남편의 소득이 내 소득보다 높다면 공제 효과가 커지기 때문에 부양가족으로 등록하여 연말정산을 진행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연말정산 간소화 부양가족 자료 일괄제공 동의 방법

연말이 되면 연말정산 시즌으로 많은 분들이 얼마나 돌려받을까 기대반 걱정반 하실 것으로 생각합니다. 11월 15일부터 국세청 홈택스에서는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가 오픈되었습니다. 오늘

jjtmi.com

 

연말정산 입양아 손자 손녀 인적공제 가능 여부 확인

연말정산이 다가오면서 환급액을 많이 받기 위해 다양한 공제에 대해 관심이 많으실텐데요. 오늘은 연말정산 인적공제 자녀 범위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목차여기]    연말정산 인적공

jjtmi.com

 

중도퇴사자 이직했을 때 연말정산 하는 방법

중도퇴사자와 이직자는 일반 근로자와는 다른 방식으로 연말정산을 진행해야 하므로, 관련 절차와 준비 사항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중도퇴사자와 이직자가

jjtmi.com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