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패스는 경남 도민을 위한 대중교통 카드라고 합니다. 서울의 기후동행카드, 경기패스, 인천패스 등 각 지자체마다 교통비를 지원하는 카드들이 생겨나고 있는데요. 경남패스 역시 이와 비슷한 지원정책입니다. 자세한 내용을 이번 포스팅을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여기]
경남패스란?
경남패스는 경상남도 도민들을 위해 대중교통비를 지원하는 지원정책입니다. 경남패스는 만 19세 경남 도민이라면 누구나 발급 받을 수 있으며 다양한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경남패스는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만 19세 이상 경남도민은 발급 가능하며 특히 75세 이상은 이용횟수 조건 없이 발급이 가능합니다.
경남패스는 월 교통비의 일정 비율을 다음달에 환급해 주는 지원정책으로 환급률은 연령에 따라 달라집니다.
만 19세 이상 34세 청년은 교통비의 30%를 다음달에 환급 받을 수 있고 만 40세부터 74세까지는 교통비의 20%를 환급 받을 수 있습니다.
만 75세 이상과 저소득층은 100% 환급이 되기 때문에 사실상 무료로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게 됩니다.
경남패스 발급 방법
경남패스를 발급 받으려면 은행이나 카드사 홈페이지를 통해 K패스 카드를 발급 받습니다. 카드는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 중 선택하고 후불교통카드로 발급 받으면 됩니다.
신한카드 | 농협카드 | 국민카드 |
우리카드 | 기업카드 | 하나카드 |
삼성카드 | BC카드 | 현대카드 |
또는 편의점에서 선불 교통카드를 구입하셔도 되는데요. 카드를 먼저 구입하신 후 현금으로 충전한 뒤 사용하는 교통카드 입니다.
그다음 K패스 앱이나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을 진행하여 발급받은 카드번호를 입력합니다. 발급받은 카드와 계좌를 등록해야 다음달 환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대중교통 이용 방법
K패스 카드를 발급받고 K패스 앱 또는 홈페이지에 등록을 했다면 이제 교통카드로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되는데요. 평소와 같이 카드로 대중교통비를 결제하면 됩니다.
월 15회 이상 버스나 지하철을 타면 환급률에 따라 다음달에 환급이 되는데요.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시는 분들이라면 경남패스를 활용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환급은 후불교통카드와 선불교통카드가 달리 진행되는데요. 후불교통카드를 이용하게 되면 카드사별로 정해진 날짜에 맞춰 등록된 계좌로 환급됩니다.
선불카드의 경우에는 이즐충전소 앱에서 쿠폰 메뉴를 통해 환급 받을 수 있습니다. 쿠폰으로 수령되기 때문에 일정기간 쿠폰을 받지 않으면 자동 소멸 되므로 선불카드를 쓰시는 분들은 틈틈이 환급액을 확인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각 지자체마다 교통비를 제공하는 다양한 정책들이 나오면서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시는 분들의 부담이 조금은 줄어들 것으로 보여집니다.
다만, 지자체별로 조건이 상이하거나 지급 여부가 달라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발급 전 내용을 확인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경기도 어린이 청소년 교통비 지원사업 신청 방법
경기도에서는 경제적 자립도가 낮은 청소년에게 교통비 부담을 완화시키기 위해 교통비 지원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경기도 어린이 청소년 교통비 지원사업에 대해 알아보고 어떻게
jjtmi.com
후불 기후동행카드 신청 방법 카드사별 혜택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시는 직장인, 학생분들이라면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하고 계시는 분들이 많으실텐데요. 기존 기후동행카드는 충전한 금액만큼만 사용이 가능했기 때문에 교통카드를 이
jjtmi.com
제주 교통복지카드 2025년 초등학생 버스요금 무료 발급 방법
교통복지카드에 대해 들어보신 적 있나요? 교통복지카드는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교통약자를 위해 일반 버스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교통카드를 말합니다. 이러한 교통복지카드가 내년부터는
jjtmi.com
'정부정책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장년 경력지원제 월 최대 150만원 신청 방법 (0) | 2025.01.28 |
---|---|
2025년 제주 아동건강체험활동비 신청 방법 (0) | 2025.01.13 |
청년주택드림 청약통장 2% 금리로 80% 대출 방법 (0) | 2025.01.06 |
2025년 2자녀 자동차 취득세 감면 신청 방법 (0) | 2025.01.03 |
한전 신생아 출산 가구 전기요금 감면 신청 방법 (0) | 2024.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