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정책꿀팁

2025년 서울 신혼부부 결혼 및 출산 지원금 신청 방법

by 아꼼맘 2024. 11. 27.
반응형

결혼과 출산을 장려하는 정책들이 계속해서 나오고 있는 가운데 2025년 결혼과 출산을 앞둔 신혼부부들이라면 내년에는 얼만큼의 지원금을 받을 수 있을지 궁금하실 겁니다. 오늘은 2025년 서울 신혼부부를 위한 결혼 및 출산 지원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5 서울 신혼부부 결혼 및 출산 지원제도

 

[목차여기]

 

 

신혼부부 살림비용 지원

 

내년 1월 1일 이후 혼인신고를 한 1년 내 신혼부부 중 중위소득 150% 이하인 가구에 한해 '스드메'(스튜디오 촬영, 드레스 예약, 메이크업) 비용 및 결혼 준비와 살림 장만에 쓸 수 있는 비용으로 최대 100만원을 지원합니다.

 

총 2만 가구 이상을 지원할 예정이므로 중위소득 150% 이하에 해당하는 신혼부부라면 결혼 준비 시 100만원 지원 받고 준비하시길 바랍니다.

 

 

무주택 신생아 가구 지원

 

또한 내년 1월부터 아이가 태어난 무주택가구를 대상으로 월 30만원씩 2년간 총 720만원의 주거비를 지원 받을 수 있습니다. 

 

지원 대상은 내년 1월 1일부터 출산한 가구 중 신청일 기준 신청자가 무주택자이면서 공공임대주택 미거주자이고, 전세보증금 3억원 또는 월세 130만원 이하에 거주하고 있어야 합니다.

 

뿐만 아니라 신혼부부 임차보증금 이자 지원 사업의 대출 한도도 3억원으로 상향되었고 연 4.5%의 금리로 대출 지원도 받을 수 있습니다.

 

 

 

 

 

소상공인 출산 양육지원

 

소상공인을 위한 양육지원도 확대됩니다. 대체인력 지원 및 만약 휴업을 하게 된다면 임대료와 공과금에 대한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소상공인이 민간 아이 돌봄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이용요금의 70%를 6개월간 지원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육아지원 제도로 소상공인도 육아에 대한 부담을 덜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프리랜서 및 자영업자 지원제도

 

또한 내년부터는 1인 자영업자 및 프리랜서도 본인 또는 배우자가 출산 시 출산휴가를 갈 수 있도록 출산/휴가 급여 지원이 시행됩니다.

 

임산부 본인에게는 90만원이 지원되고 배우자에게는 80만원까지 출산 휴가 급여가 지원됩니다. 

 

이밖에도 서울시에서는 임신부터 출산, 양육까지 육아의 전 과정을 시기별로 지원하는 다양한 지원제도가 있습니다. 나에게 맞는 지원제도는 어떤 것이 있는지 서울시 임신출산 지원센터를 통해 직접 확인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서울시에서는 신혼부부의 결혼과 출산을 장려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를 확대 시행하고 있습니다. 결혼부터 자녀 양육까지 다양한 혜택이 많으니 나에게 맞는 지원제도를 잘 살펴보셔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2024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지원 신청 방법

자녀를 양육하는 근로자들을 위한 중요한 제도인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이 제도는 일과 가정의 양립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되었으며, 근로시간을 줄이는 대신 일

jjtmi.com

 

2024 육아휴직급여 최대 1년 지원받는 방법

육아와 일을 병행해야 하는 부모들에게 육아휴직은 큰 도움이 됩니다. 특히 2024년부터 육아휴직급여 제도가 강화되면서 부모들이 자녀 양육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이 더 잘 마련되었습니다. 

jjtmi.com

 

2024 출산휴가 급여 대상 및 신청 방법

출산을 앞두고 있는 여성 근로자라면 출산휴가급여에 대해 알고 계실텐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출산휴가급여의 신청 방법과 대상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목차여기]   출산

jjtmi.com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