곧 설날이 다가옵니다. 이번 설은 1월 말이라 예년보다 조금 이른감이 있는데요. 명절에 고향집을 방문하기 위해 기차표를 미리 예매하려고 준비하는 분들이 많으실 거라 생각합니다. 오늘은 기차표 예매 일정 및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여기]
코레일 예매 일정
코레일 공지사항에 보면 예매 일정이 나와 있습니다. 장애인과 경로, 국가유공자 등은 1월 6일부터 7일까지 우선 예매할 수 있고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는 1월 8일과 9일에 예매가 가능합니다.
장애인과 경로, 국가유공자의 한해 온라인 예매와 더불어 전화접수를 병행하여 진행하고 있습니다. 요일별로 대상 노선이 다르기 때문에 사전에 내 노선에 따른 예매 가능 일자를 확인하셔야겠습니다.
✔️ 1월 8일 : 경부, 경전, 동해, 대구, 충북, 중부내륙, 경북, 동해선 예매
✔️ 1월 9일 : 호남, 전라, 강릉, 장항, 중앙, 태백, 영동, 서해, 경춘선 예매
만약 부득이 온라인으로 예매를 하지 못한 경우에는 1월 9일 오후 3시부터 역 창구 및 홈페이지, 코레일톡 등에서 잔여석에 한해 상시 발매가 이루어집니다.
하지만 대부분 예매기간 내에 판매가 완료되는 만큼 가능하면 예매 가능일자 및 시간에 접속하셔서 예매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코레일 예매 방법
코레일 설날 티켓은 1인당 최대 12매까지 예매할 수 있습니다. 1회당 6매 이내로, 4인 동반석 1세트는 4매로 산정하여 예매되기 때문에 사전에 필요한 티켓 수를 잘 확인하셔야겠습니다.
렛츠코레일 홈페이지 및 모바일에서 예매한 후 1월 9일 오후 3시부터 12일 24시까지 결제를 진행하면 됩니다. 이 기간 내에 결제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자동 취소됩니다.
만약 PC, 모바일 사용이 어려운 경로, 장애인, 국가유공자의 경우 철도고객센터 1544-8545로 전화하면 티켓 예매가 가능합니다. 보통 오전 9시부터 10시까지는 통화량이 많기 때문에 이점 미리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SRT 예매일정
SRT는 코레일보다 일주일 정도 늦게 시작하는데요. 1월 13일부터 14일까지는 경로, 장애인, 국가유공자가 우선 예매할 수 있도록 하고 1월 15일부터 16일까지는 전국민 대상으로 예매가 가능합니다.
SRT도 코레일과 마찬가지로 예매 일자별로 대상노선을 나눠서 홈페이지 접속자가 몰리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고 있는데요. 예매 일자별로 노선을 미리 확인 하셔야겠습니다.
✔️ 1월 15일 : 경부선, 경전선, 동해선 예매
✔️ 1월 16일 : 호남선, 전라선 예매
SRT 예매 방법
SRT도 홈페이지 또는 모바일을 통해 예매가 가능합니다. 1인당 최대 12매가 예매 가능하고 사전 예매 후 1월 16일 오후 3시부터 19일 24시까지 결제가 이루어져야 최종 예매가 완료됩니다.
해당 기간 내에 결제가 안되면 자동 취소되기 때문에 미리 확인하셔서 결제하셔야겠습니다.
예매 사이트가 오픈되면 많은 분들이 홈페이지나 모바일로 몰리기 때문에 예매에 성공하려면 몇가지 팁을 확인하셔야 도움이 될텐데요.
우선 내가 예매하고자 하는 사이트에 회원가입을 미리 해두셔야 합니다. 그리고 코레일과 SRT는 예매 페이지를 시뮬레이션 모드로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미리 예매 절차를 연습해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그리고 출발역과 도착역을 미리 확인하고 원하는 시간대 열차와 좌석을 체크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원하는 기차가 매진될 경우를 대비해 다른 시간대 또는 대체 노선도 미리 알아두는 게 좋겠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정읍시 30만원 민생회복 지원금 신청 방법 가맹점 조회
정읍시에서 시민들을 대상으로 30만원씩 민생회복 지원금을 지급한다는 소식이 들려왔습니다. 정읍에 살고 계시는 분들은 이 내용 확인하셔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목차여기]
jjtmi.com
2025년 삼재띠 토끼띠 양띠 돼지띠 신년 운세
2025년 새해가 다가오면서 신년 운세 및 삼재띠에 대해 관심있는 분들이 많으실 겁니다. 오늘은 2025년 띠별 신년 운세 및 삼재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여기] 삼재란? 삼재는 인
jjtmi.com
2025년 최저시급 연봉 실수령액 확인 표 다운로드
2025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2025년부터는 최저시급 10,030원이 적용되는데요. 최저시급 1만원 시대가 되었습니다. 최저시급에 따른 월 최저임금, 그리고 연봉 실수령액을 알아보겠습니다. [목
jjtmi.com
'생활정보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월 27일 임시공휴일 지정 병원 은행 관공서 적용대상 (0) | 2025.01.09 |
---|---|
2025년 서울사랑상품권 발행 일정 및 구매 방법 (0) | 2025.01.05 |
2025년 최저시급 연봉 실수령액 확인 표 다운로드 (0) | 2025.01.02 |
2025년 삼재띠 토끼띠 양띠 돼지띠 신년 운세 (0) | 2024.12.31 |
자동차 채권 환급금 조회 및 신청 방법 (0) | 2024.12.30 |